top of page
인테리어 디자인

샷시유리의 최강자 정연창호

중문유리교체

정연창호배너.jpg

CLICK전화연결▲▲

중문유리교체 베란다유리 강화유리 유리문 현관문 방충망 방범창 전문업체 세상에없던 유리가게 정연창호 친절상담 경기남부지역

가게에 오셔서 직접 보고 결정하세요!

친절상담 해 드립니다.

Tip : 대한민국넘버원 유리가게 착한가게입니다~~

관련홈페이지 바로가기

중문유리교체2.jpg

강화유리란?

고열에 의한 특수 열처리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특수유리로 일반 유리에 비해 강도가 3~5배이다. 성형 유리판을 약 600℃로 열압, 공기를 뿜어 급냉시켜서 만든다. 깨지더라도 조각이 모나지 않게 콩알 모양으로 부수어 진다. 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제작전에 나사구멍, 절단 등의 작업을 하여야 한다. 건축용ㆍ산업용으로 많이 쓰인다. 「강철유리」 (steel glass)라고도 하며, 또한 가공 조작상「 급냉유리」라고도 함. 인장강도: 2,000㎏/㎠ 정도(보통유리는 600㎏/㎠), 경도: 7정도, 휨강도: 보통유리의 20배 정도. 일반유리와 외관은 같고, 내충격ㆍ내압강도ㆍ휨성이 크고, 내열성도 우수(200℃에서 깨지지 않음)ㆍ급격한 온도에도 견디며 파편에 의한 부상이 거의 없이 안전성이 있음. 두께 5~12㎜, 12㎜짜리는 절단 불가이므로 열처리 전에 소요치수로 절단을 요함.

망입유리란?

두꺼운 판유리에 철망을 넣은 것. 투명, 반투명, 형판 유리가 있으며,또 와이어의 형상도 수종류가 있다. 유리액을 롤러로 제판 하며 그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 성형한 것. 망의 원료는 철, 놋, 알루미늄망등을 쓰고 망형은 4각형, 능형, 6각형, 8각형 등의 것이 있음. 광선투과율은 6㎜ 두께에서 7.6% 정도. 유리의 파손방지, 파편비산방지, 도난ㆍ화재방지, 위험한 천장, 엘리베이터의 문, 진동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운 곳에 사용됨. 안전 유리의 하나로 깨져도 균열만 생길 뿐 파편이 흩어지지 않음.

접합유리란?

① 유리 파손시 파편이 되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유리판 사이에 수지 층을 넣어 만든 유리.
② 일반유리 판 사이에 플라스틱으로 접합된 유리섬유를 끼워 넣은 유리를 말한다.
창호의 종류

창호는 건물에 달린 창과 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크기와 형태가 비슷해 굳이 창과 문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용되는 기능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다.

먼저 창호는 짝수에 따라 외짝을 독창, 두 짝을 쌍창이라고 하였다. 쌍창 중에서 고식은 가운데 문설주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영쌍창이라고 한다. 위치에 따라서는 외벽에 설치되는 여닫이 덧문과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들어걸개문을 분합이라고 하였다. 외벽에 설치되는 분합창호는 두 짝이 일반적이며 대청 앞에 설치되는 분합문은 네 짝 또는 여섯 짝이 보통이다.

즉 분합은 대개 외벽에 설치되는 두 짝 이상의 창호로 개폐방식에 관계없다. 지금까지는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네 짝 이상의 들어걸개문만을 분합이라고 하였으나 《영건의궤》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외벽에 설치하는 두 짝 이상의 여닫이 덧문도 분합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다만 대청과 방 사이 분합은 가운데 광창을 달고 위아래는 벽지를 발라 빛을 차단하는 독특한 분합이 사용되는데 이 광창을 연창이라 쓰고 불발기창이라고 읽는다. 따라서 연창이 있는 분합문이라고 하여 연창분합 또는 연창장지라고 쓰고 통상 불발기분합문이라고 부른다.

외벽에 다는 창은 보온을 위해 조선 후기 고급 집에서는 세 겹으로 달았다. 밖에서부터 쌍창 → 영창 → 흑창 → 갑창의 순서다. 쌍창은 덧문으로 두 짝 여닫이 분합이 일반적이었으며 영창은 두 짝 미닫이로 살림집에서는 보통 용자살을 사용하였다. 영창 안쪽에는 다시 두 짝 미닫이창을 다는데 이를 흑창이라고 한다. 흑창은 보통 양쪽에 종이를 두껍게 바른 도듬문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흑창을 닫으면 실내가 컴컴해 낮에도 잠을 청할 수 있다. 삼중문은 궁궐에서 보이고 보통 살림집에서는 흑창 없이 쌍창과 영창 두 겹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여름에는 영창이나 흑창을 빼고 올이 성근 비단으로 만든 창을 끼워 방충창으로 사용하는데 창호지 대신 비단을 바른 창이라고 하여 사창이라고 부른다. 방 안에서는 영창이나 흑창이 양쪽으로 열려 들어갈 수 있는 두꺼비집을 만들어 주는데 이를 두껍닫이 또는 갑창이라고 부른다. 두껍닫이는 창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실상은 고정되어 있는 가벽이라고 볼 수 있다. 나무로 격자형 틀을 만들어 벽지 등 두꺼운 종이를 발라 만드는데 방 안쪽에서는 서화 등을 붙여 장식하기도 한다.

장지는 주로 방과 방 사이에 다는 두 짝 혹은 네 짝의 미서기문을 가리킨다. 특별하게는 궁궐 편전에서 임금님이 앉는 뒤에 기둥 사이를 건너질러 가벽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기둥 전체를 건너지르면 한 칸 장지, 그 반이면 반 칸 장지 등으로 불렀다. 또 영창이나 흑창 등의 문틀은 방안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되게 마련인데 문상방 위와 문하방 아래를 문틀과 면이 맞도록 장지로 틀을 만들어대고 벽지를 발라 마감하기도 한다.

또 기능적으로 출입문 위쪽에 높이가 낮고 옆으로 긴 창호를 다는 경우가 있다. 퇴칸이 있고 고주칸에 출입문이 달리는 경우에 많다. 그것은 출입문을 기둥에 맞춰 너무 높게 만들면 실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다락이 만들어질 경우 다락의 환기나 통풍 및 일조를 위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옆으로 폭이 넓은 창이라고 하여 광창이라고 한다. 광창은 필요에 따라 일조만을 위해 열리지 않는 붙박이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열 수 있는 벼락닫이나 여러 짝으로 만들어 미서기로 하기도 한다. 광창은 또 바라지창이라고도 하며 사창, 교 등으로 쓰기도 한다. 바라지창과 비슷한 높이로 주로 외행랑채의 바깥쪽에 중방 위에 높게 달리는 창으로 위에 돌쩌귀가 있어서 밑에서 밀어 열 수 있도록 한 고창을 걸창 또는 들창, 벼락닫이창이라고 한다.

특수한 목적으로 쓰이는 창 중에는 부엌 등의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벽에 구멍을 뚫고 날짐승이 들어오지 못하게 살대를 엮고 창호지를 바르지도 않고 열리지도 않는 환기창이 있다. 이를 봉창이라고 한다. 또 한국인의 해학과 기지를 볼 수 있는 앙증스런 창에는 눈꼽째기창이 있다. 그야말로 눈꼽만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에는 창호 전체를 열 경우 열손실이 많다. 그래서 창이나 문 안에 다시 열 수 있는 작은 창을 내거나 아니면 창호 옆 벽면에 밖의 동태만 살필 수 있는 작은 창을 내는데 이를 눈꼽째기창이라고 한다.


창호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그 자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지나 맹장지 등과 같이 개폐 및 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동성 공작물을 말하기도 한다. 창호를 끼워넣는 틀을 창호틀이라고 한다. 외벽개구부에서의 창호의 기능은 외벽의 그것과 변함없고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 또는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소리의 차단이다. 이들은 적어도 창에 있어서는 보통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을 하며, 또한 창을 닫음으로써 창의 안팎을 차단한다고 하는 전혀 다른 두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출입구 등의 창이나 문으로 사람이나 물체가 통과하지만 반대로 폐쇄할 때는 소리나 바람 또는 비를 막는 성능을 갖도록 상반되는 두 기능을 서로 유지해야 한다. 그 제작에 있어서는 기밀성을 얻기란 어려운 일이다. 또 개구부에 설치된 창이나 문은 외벽이 내화구조로 되어 있으면 창호도 역시 내화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창호는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며, 종류도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 양식에 따라 동양식과 서양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용인유리 전문업체 정연창호와 함께 하세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