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테리어 디자인

샷시유리의 최강자 신세계샷시유리

용인샷시

용인샷시배너1.jpg

CLICK전화연결▲▲

용인샷시 유리문 현관문 방충망 방범창 전문업체 세상에없던 샷시가게 

가게에 오셔서 직접 보고 결정하세요! 

차별화된 기술력과 완벽한 실력으로 친절상담 해 드립니다.

Tip : 대한민국넘버원 샷시가게 착한가게입니다~~

​공식홈페이지바로가기기

용인샷시-전문업체2.gif

용인샷시 전문업체와 창호에 대한 기본상식정보 한번 알아볼까요?

창호의 종류

창호는 건물에 달린 창과 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크기와 형태가 비슷해 굳이 창과 문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용되는 기능상의 성격과 형태에 따라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다.

먼저 창호는 짝수에 따라 외짝을 독창, 두 짝을 쌍창이라고 하였다. 쌍창 중에서 고식은 가운데 문설주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영쌍창이라고 한다. 위치에 따라서는 외벽에 설치되는 여닫이 덧문과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들어걸개문을 분합이라고 하였다. 외벽에 설치되는 분합창호는 두 짝이 일반적이며 대청 앞에 설치되는 분합문은 네 짝 또는 여섯 짝이 보통이다.

즉 분합은 대개 외벽에 설치되는 두 짝 이상의 창호로 개폐방식에 관계없다. 지금까지는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되는 네 짝 이상의 들어걸개문만을 분합이라고 하였으나 《영건의궤》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외벽에 설치하는 두 짝 이상의 여닫이 덧문도 분합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다만 대청과 방 사이 분합은 가운데 광창을 달고 위아래는 벽지를 발라 빛을 차단하는 독특한 분합이 사용되는데 이 광창을 연창이라 쓰고 불발기창이라고 읽는다. 따라서 연창이 있는 분합문이라고 하여 연창분합 또는 연창장지라고 쓰고 통상 불발기분합문이라고 부른다.

외벽에 다는 창은 보온을 위해 조선 후기 고급 집에서는 세 겹으로 달았다. 밖에서부터 쌍창 → 영창 → 흑창 → 갑창의 순서다. 쌍창은 덧문으로 두 짝 여닫이 분합이 일반적이었으며 영창은 두 짝 미닫이로 살림집에서는 보통 용자살을 사용하였다. 영창 안쪽에는 다시 두 짝 미닫이창을 다는데 이를 흑창이라고 한다. 흑창은 보통 양쪽에 종이를 두껍게 바른 도듬문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흑창을 닫으면 실내가 컴컴해 낮에도 잠을 청할 수 있다. 삼중문은 궁궐에서 보이고 보통 살림집에서는 흑창 없이 쌍창과 영창 두 겹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여름에는 영창이나 흑창을 빼고 올이 성근 비단으로 만든 창을 끼워 방충창으로 사용하는데 창호지 대신 비단을 바른 창이라고 하여 사창이라고 부른다. 방 안에서는 영창이나 흑창이 양쪽으로 열려 들어갈 수 있는 두꺼비집을 만들어 주는데 이를 두껍닫이 또는 갑창이라고 부른다. 두껍닫이는 창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실상은 고정되어 있는 가벽이라고 볼 수 있다. 나무로 격자형 틀을 만들어 벽지 등 두꺼운 종이를 발라 만드는데 방 안쪽에서는 서화 등을 붙여 장식하기도 한다.

장지는 주로 방과 방 사이에 다는 두 짝 혹은 네 짝의 미서기문을 가리킨다. 특별하게는 궁궐 편전에서 임금님이 앉는 뒤에 기둥 사이를 건너질러 가벽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기둥 전체를 건너지르면 한 칸 장지, 그 반이면 반 칸 장지 등으로 불렀다. 또 영창이나 흑창 등의 문틀은 방안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되게 마련인데 문상방 위와 문하방 아래를 문틀과 면이 맞도록 장지로 틀을 만들어대고 벽지를 발라 마감하기도 한다.

또 기능적으로 출입문 위쪽에 높이가 낮고 옆으로 긴 창호를 다는 경우가 있다. 퇴칸이 있고 고주칸에 출입문이 달리는 경우에 많다. 그것은 출입문을 기둥에 맞춰 너무 높게 만들면 실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다락이 만들어질 경우 다락의 환기나 통풍 및 일조를 위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옆으로 폭이 넓은 창이라고 하여 광창이라고 한다. 광창은 필요에 따라 일조만을 위해 열리지 않는 붙박이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열 수 있는 벼락닫이나 여러 짝으로 만들어 미서기로 하기도 한다. 광창은 또 바라지창이라고도 하며 사창, 교 등으로 쓰기도 한다. 바라지창과 비슷한 높이로 주로 외행랑채의 바깥쪽에 중방 위에 높게 달리는 창으로 위에 돌쩌귀가 있어서 밑에서 밀어 열 수 있도록 한 고창을 걸창 또는 들창, 벼락닫이창이라고 한다.

특수한 목적으로 쓰이는 창 중에는 부엌 등의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벽에 구멍을 뚫고 날짐승이 들어오지 못하게 살대를 엮고 창호지를 바르지도 않고 열리지도 않는 환기창이 있다. 이를 봉창이라고 한다. 또 한국인의 해학과 기지를 볼 수 있는 앙증스런 창에는 눈꼽째기창이 있다. 그야말로 눈꼽만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에는 창호 전체를 열 경우 열손실이 많다. 그래서 창이나 문 안에 다시 열 수 있는 작은 창을 내거나 아니면 창호 옆 벽면에 밖의 동태만 살필 수 있는 작은 창을 내는데 이를 눈꼽째기창이라고 한다.

용인샷시 동양샷시에 궁금한건 모든지 물어보세요.
​친절하고 정확하게 상담해 드립니다.

bottom of page